Search
🔵

a3__3.2.1. title: 유튜브의 Curiosity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는 썸네일, 제목, 첫 n초이다.

생성
prev summary
🚀 prev note
next summary
🚀 next note
♻️ next note
a3__3.2.1.2. title: 첫 5초 안에 썸네일과 제목에 나온 대상들이 모두 등장했는지 (심지어는 색감과 예상되는 톤앤매너까지도 같은지) 음성 없이도 볼 수 있는지, 2초 내에 컷이 바뀌는지 확인해보라. 이 관문 다음의 10초가 주파수를 맞추고 다음 궁금증을 만들어내는 시간이다.
a3__3.2.3. title: 이야기를 ‘만약에(What If)’로 시작하는 기법은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상상 속의 설정과 시너지가 좋아 애니메이션이나 SF에서 Curiosity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찌그러진 노트북’처럼 익숙하면서도 상충되는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SF가 아닌 현실에서도 충분히 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평소에 나의 고슴도치 컨셉트상 충분히 따라할 수 있는 영세한 ‘만약에’가 무엇인지 분석해야 한다.
관련 임시노트
9 more properties
유튜브의 Curiosity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는 썸네일(ref1), 제목, 첫 n초(ref2,ref3)이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이 글의 아이디어를 제시한 책에서 언급한 내용을 NCTR 프레임워크로 재구성하면서, 이 글의 아이디어는 결국 NCTR 프레임워크에서 제시하는 ‘Curiosity’에 해당하는 내용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3.
잘생긴 남자나 예쁜 여자가 썸네일과 초반부에 등장하는 것도 Curiosity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3.
5.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2.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