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면 위 그림과 같다.
정리하면 위 그림과 같다. (@5/17/2022 개정)
현재 상황에서 내가 느끼는 깊숙한 욕망(from2)으로터 공감하여 가치 문장을 정의한다. 문장을 정의하기 위해서 나 자신에게 공감할 때 섣부르게 판단하거나 커리어를 의식하지 않아야 한다. 내가 무엇을 잘했는지, 즉 내 유전자가 어떤 것을 원하고 있는지를 잘 생각해 본다(from3). 정의된 가치는 완성된 문장일수록 좋다. DEFINE 단계에는 가치를 정의하는 일과 가치를 가장 잘 발현할 수 있는 직업목표를 수립하는 단계 둘 모두가 포함된다는 사실에 주의하라. 시간을 정해놓고, 충분히 가치에 대해서 고민한 뒤 직업목표를 수립하라(from4).
목표를 수립했다고 바로 일자리를 구하는 잡플래닛이나 링크드인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얼굴에 철판을 깔고서라도 그 직업이나 해당 가치를 이미 성취했다고 느껴지는 사람을 여러 명 인터뷰해 보는 IDEATE 단계를 거친다(from5). 그리고 해당 직업 그 자체에서 내가 누릴 수 있는 가치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가장 빠른 피드백 루프를 돌아서 삽질을 최소화해야 한다. 그 다음에 그 직업을 얻을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 을 연구해 보자(from6). 이 작업에서도 마찬가지로 여러 질문을 던지며 피드백 루프를 돌며 삽질을 최소화한다(from8).
마지막 단계인 PROTOTYPE & TEST 단계에 도달했다면, 어떤 직업의 인턴을 통해, 혹은 정규직을 통해 직접 일해보는 과정 속에서 평가를 내려볼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타의에 의해 해고가 되지 않는 한 이 장소에 안주할 수 있다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피드백 루프를 돌며 지속적으로 나를 돌아본다(from9).
parse me
1.
None
from
1.
None
3.
4.
5.
6.
7.
None
8.
9.
supplementary
1.
None
opposite
1.
None
to
3.
참고
1.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