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p,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콘텐츠는 기술력과 품질을 잘 보여 줄 수 있는 반면 들인 시간과 노력에 비해 수익성이 턱없이 낮았습니다. 기술 강의는 공예에 관심 있는 소수만을 대상으로 했기에 … 그 수가 제한적이어서 폭발적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웠습니다. 트렌드를 활용한 시도는 특정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만 반응할 수 있는 콘텐츠였습니다. 그런데 까르띠에처럼 대중적인 브랜드를 활용해 만든 콘텐츠는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었죠. 결국 콘텐츠의 성공을 위해서는 전문성과 대중성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