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네트워크 용어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와 SSL(Secure Sockets Layer)가 의미하는 것은 동일하다. 이제 SSL과 TLS가 호환되지 않아 정확히는 TLS가 맞지만(ref1) 역사적으로 SSL을 표준화한 것이 TLS이기 때문에 SSL 용어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ref2,ref3).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
AWS를 다루며 앞의 글을 작성할 무렵, SSL이라는 것을 처음 알아보았던 기억이 난다. 이때 TLS, SSL이라는 용어가 같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 헷갈리기도 했다.
2.
•
앞의 글에 나타난 표준화 역사를 가지고 있는 도커가 떠오른다. ‘컨테이너’가 ‘도커’라고 불리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