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존성 관계(Dependency): A가 B에 의존한다는 관계
•
kubelet → API Server
•
Pod → ConfigMap/Secret
2.
제어/관리 관계(Control/Management): 상위 컴포넌트가 하위 컴포넌트를 관리함을 표시
•
Deployment → ReplicaSet → Pod
•
Controller Manager → 리소스들
3.
통신 방향(Communication Direction): 요청의 흐름 방향, 응답은 보통 역방향으로 가정
•
Client → API Server → etcd
4.
데이터 흐름(Data Flow): 실제 데이터가 이동하는 방향
•
사용자 → Ingress → Service → Pod
•
Pod → PV(스토리지 접근)
5.
네트워크 트래픽: 실제 네트워크 패킷의 경로
•
외부 트래픽 → LoadBalancer → NodePort → ClusterIP → Pod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이들 다섯 가지 중 첫 번째, 의존성 관계를 표현한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
1.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