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a2.6.1_1_1.1.1. title: 전통적인 웹 아키텍처 관점으로는 ASGI 서버와 ASGI 애플리케이션을 통틀어 Nginx등의 웹 서버 뒤에 놓이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라고 본다.

생성
prev summary
🚀 prev note
next summary
🚀 next note
♻️ next note
관련 임시노트
9 more properties
Gunicorn의 정식 명칭이 "Green Unicorn" - Python WSGI HTTP Server for UNIX인데, 여기서 핵심은 WSG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는 점이다. Django나 Flask 같은 Python 웹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직접 로드하고 실행하며,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반면, Apache/Nginx은 정적 파일 서빙, 리버스 프록시, 로드 밸런싱이 주 목적이기 때문이다.
우리를 헷갈리게 만드는 그림들(출처)
더 나은 그림(출처)
물론 Apache/Nginx처럼 ASGI/WSGI 서버들도 HTTP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어서 단독으로도 웹 서비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개발 환경이나 간단한 배포에서만 권장되고, 운영 환경에서는 앞단에 웹 서버를 두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ASGI/WSGI 서버들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일부로 분류하는 것이 정확다고 본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앞의 글은 ASGI 서버와 ASGI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다룬다. 앞의 글을 통해 WSGI의 개념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윤곽이 잡히게 된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None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
1.
None